$kubectl edit 기본 편집기에서 객체의 매니페스트 파일을 연다. 변경한 후, 파일을 저장하고 편집기를 종료하면 오브젝트가 갱신된다. ex) kubectl edit deployment kubia $kubectl patch 객체의 개별 속성을 수정한다. ex) kubectl patch deployment kubia -p '{"spec": {"minReadySeconds": 10 }}' $kubectl apply 전체 yaml 또는 json 파일의 속성 값을 적용해 객체를 수정한다. yaml , json에 정의된 객체가 아직 존재하지 않으면 생성된다. 이 파일에는 리소스의 전체 정의가 포함돼야 한다. ex) kubectl apply -f kubia-deployment-v2.yaml $kubectl r..
출처 : kubernetes in action Downward API - 해당 POD 의 내부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POD 자체의 메타 데이터를 노출할 수 있다. . pod 명 . pod ip 주소 . pod 네임스페이스 . pod 가 실행되고 있는 Node 명 ... 1) 환경변수를 통한 메타데이터 노출apiVersion: v1kind: Podmetadata: name: 포드명spec: containers: - name: main image: ㅇㅇㅇ command: ㅇㅇㅇ resources: requests: .... limits: .... env: - name: POD_NAME valueFrom: fieldRef: fieldPath: metadata.name - name: POD_NAMESPACE ..
레디니스 프르브 - pod를 위한 - 라이브니스 프로브는 상태가 좋지 않은 컨테이너를 종료하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pod의 상태를 좋게 유지한다. 레디니스 프로브는 오직 pod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 환경이 됐을때 수신한다. - pod의 레디니스 프로브가 실패하면, 해당 pod는 endpoint 오브젝트에서 제거된다. - 레디니스 프로브는 클라이언트가 정상 상태인 pod하고만 통신하게 하고,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게 한다. 서비스를 통해 pod에 접속하지 못할때 - 외부가 아닌 클러스터 안에서 클러스터IP를 대상으로 연결하고 있다는 것을 명심 - 서비스가 액세스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ip로 ping 보내는 것을 귀찮게 여기지 마라 - readiness probe를 정..
- pod는 일회성- 여러 pod가 단일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모든 pod는 단일 ip 주소를 통해 액세스 할 수 있어야 한다. Kubernetes Service-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pod group 에 단일 진입 점을 만들기 위해 생성하는 리소스- 각 서비스에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동안 절대로 변경되지 않는 ip 주소와 port 가 있다. 클라이언트는 해당 IP 및 포트에 연결할 수 있고, 이런 연결은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는 pod 중 하나로 라우팅 된다.- 서비스는 오직 단일 port 뿐만 아니라, 여러개의 port 도 지원할 수 있다. [Service의 주 목적 ] 포드들의 그룹을 클러스터상의 포드에게 노출하는것. - 원격접속 $kubectl exec [pod명] - C..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pod가 항상 실행되도록 하는 쿠버네티스 리소스 - 실행중인 pod의 수를 모니터링하고, 실제 원하는 갯수와 실행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 라벨셀렉터와 매치되는 pod를 찾음 -> 매치되는 수와 원하는 수를 비교 -> 많거나 적으면, 생성 삭제 한다. - 3가지 필수요소 1) 레플리케이션컨트롤러의 범위에 있는 pod를 결정하는 label Selector 2) 실행해야 하는 pod의 원하는 수를 지정하는 복제본 수 3) 새로운 pod 복제본을 만들때 사용되는 pod Template -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목록 정보 얻기 $kubectl get rc -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상세 정보 확인 $kubectl describe rc [rc명] -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의 yaml 정의..
- namespace 생성 $kubectl create namespace [네임스페이스명] -특정 namespace 에 pod 생성 $kubectl create -f xxxxx.yaml -n custom-namespace - pod 삭제 1)이름으로 삭제시 $ kubectl delete po [pod명] 2) 라벨셀렉터로 삭제시 $kubectl delete po -l [라벨key=값] 3) 현재 네임스페이스의 모든 pod 삭제시 $kubectl delete po -all -pod생성 $kubectl create -f xxxxx.yaml - pod의 에러로 restart 한 경우 로그 확인 $kubectl logs [pod명] --previous - pod 가 다시 시작해야 하는 이유를 알고자 할때 $ku..
- cluser 작동중인지 확인 $kubectl cluster-info - pods 정보 확인 $kubectl get pods - 특정 pod 의 yaml 정의 확인 $kubectl get po [pod명] -o yaml - 리소스 생성 $kubectl create -f xxxx.yaml - pod 로그 확인 $kubectl logs [pod명] - 디버깅 또는 다른 이유로 서비스를 거치지 않고, 특정포드와 통신하고 싶을때 ....port fowarding $kubectl port-forward [pod명] 8888:8080 Forwarding from [::1]:8888 -> 8080 - pod의 라벨확인 $kubectl get po --show-labels - pod에 라벨 붙이기 $kubectl l..
- Total
- Today
- Yesterday
- Persistent
- 자바스크립트
- 메모리
- 아키텍처비기능
- 대화로 코딩
- 정규식
- poi셀크기
- Gc
- Hibernate
- orm
- 메일서버
- apache POI
- memory
- 바이브코딩
- JVM
- minikube
- non
- ai coding
- mailserver
- nvida gpu 할당
- 릴레이
- #gof #디자인패턴
- non-functional
- 딥러닝
- POI
- vibecoding
- JPA
- 아키텍처요소
- 비기능
- #iamreo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