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장에서 까지 했으니 이제 요소에 대해 설명할 차례네요. 는 스프링 트랜잭션 기술의 집약체입니다. 스프링의 트랜잭션 기술은 전장에서도 말했듯이 어노테이션 적용법과 AOP 적용법 2가지가 있으며 위의 예제는 당연히 AOP 적용법입니다. 먼저 로 트랜잭션 어드바이스를 하나 만듭니다. 여기에 적용한 트랜잭션을 선택하는데 만약 트랜잭션 빈의 이름이 'transactionManager'이라면 위의 'transaction-manager' 속성은 생략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제에서는 다만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속성을 넣어둔 것 뿐이므로 현재 'transaction-manager'은 생략이 가능하다 할 수 있겠네요. 그다음 의 로 세밀하게 메서드별 속성을 조절해주도록 합시다. 우리는 이 부분에서 어느 메서드에 트랜잭..
스프링만의 독특한 트랜잭션 비법! 1장 springmvc.egloos.com/498979 평소에 "다나까"체로 글을 썼는데 이런 글이 가독성에 참 좋지 않은데다가 쥐뿔도 모르면서 남한테 설교하는 느낌이 너무 나가지고 문체를 "~습니다요"체로 바꾸도록 하겠습니다 ^^; 일전에 썼던 트랜잭션에 대한 원리글을 읽으셨다면 앞으로 우리가 사용할 트랜잭션이 무엇인지 대충 감 잡으셨다고 생각합니다 ^^; 제대로 읽었음에도 잘 이해가 가지 않으시다면 제 글이 부족한 탓이니… 토비의 스프링의 5.2 트랜잭션 서비스 추상화 부분을 정독해보세요. 제 블로그 글보다 더 자세한 디테일한 설명이 담겨져 있답니다. 오늘은 본격적으로 스프링의 트랜잭션 적용법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스프링 트랜잭션 적용법은 정말 독특한데다 적..
VO, DTO, DAO 클래스 설명[출처] http://choijaehyuk.com/128 VO개념Value Object는 DTO와 동일한 개념이나 차이 점은 read only 속성을 갖습니다.Value Object는 관계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에 대응되는 자바클래스입니다. 형태는 db레코드를 구성하는 필드들을 Value Object의 Attribute로 하고 해당 변수에 접근 할 수 있는 Getter Setter 메소드의 조합으로 클래스를 형성되어진 클래스입니다. 특성은 대체로 불변성이고equals()로 비교할 때 객체의 모든 값을 비교해야 합니다.필요성Network traffic을 줄임으로 인해서 효과적입니다.기대효과Network traffic이 줄어듭니다. 장 단점장점으로는 비 서버 측 클라이언트도 네..
먼저 도메인 객체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이 오브젝트를 조금 자세히 설명할 필요가 있다.과거 자바가 웹의 영역에 드러서기 시작하면서 다른 플랫폼들과 소통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했는데 그것이 바로 JSR-000220, 자바빈즈였다. 자바빈은 본래 다양한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나 지금은 대부분이 외부 리소스를 담는 그릇같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빈 생성자를 가지며 내부에 private로 설정된 프로퍼티에 get…, set…과 같은 명명규칙을 갖고 있는 클래스를 일컫는다. 이렇듯 도메인 오브젝트의 첫 시작이었던 자바빈즈는 클래스 내부에 연산이나 다양한 기능을 넣기엔 기술적 한계가 많았으므로 대부분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기 전에 임시로 담아두는 정도로 밖에 사용하지 않았다. 임시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
java mail API를 이용하여 메일 발송하는 자료를 모으고자 한다.내용은 추가적으로 계속 업데이트 할 예정임 .. !!!! Spring 3 환경에서 메일을 발송하는 방법을 조사해봤다. 간단하게 Oracle에서 제공하는JavaMail API를 사용하면 된다. 현재 최신 버전은 1.4.7이며 maven javamail로 구글링하면 mail-1.4.7.jar 파일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 다운로드받은 mail-1.4.7.jar 파일을 프로젝트의 CLASSPATH에 추가한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WebContent/WEB-INF/lib 디렉토리에 복사하면 간단하게 끝난다. * 메일 발송 정보를 저장할 mail.xml 파일을 작성한다.smtptruetruetrue * DispatcherServlet..
Spring MVC는 파일 업로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Commons 파일 업로드(http://jakarta.apache.org/commons/fileupload)와 COS 파일 업로드(http://www.servlets.com/cos) 라이브러리를 지원하고 있다.(Spring API의 org.springframework.web.multipart 패키지를 보면 두 개의 라이브러리를 지원하는 패키지가 따로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Spring 프레임워크에서는 파일업로드에 대한 구현을 이미 다 만들어 놓은 MultipartResolver란 클래스가 있는데 여기에는 재미있는 property가 있다. uploadTempDir 이란 넘인데 이 속성명에서 풍기는 의미에서 처럼 Spring 프레임워크는 업로드 ..
- Total
- Today
- Yesterday
- 아키텍처비기능
- minikube
- 메모리
- 자바스크립트
- non-functional
- 비기능
- nvida gpu 할당
- vibecoding
- #iamreo
- POI
- 릴레이
- poi셀크기
- JVM
- 딥러닝
- Persistent
- 대화로 코딩
- memory
- 아키텍처요소
- Gc
- 정규식
- 바이브코딩
- JPA
- Hibernate
- #gof #디자인패턴
- apache POI
- orm
- non
- 메일서버
- ai coding
- mailserver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