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HTML이 어떤 마크업 언어이고, 어떤 한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앞선 글에서 알아봤습니다. 그렇다면 HTML 대신XHTML을 사용하는 것은 과연 옳은 선택일까요? 이 주제에 관해서 포스팅하게 된 동기가 되었던 Tommy Olsson의 글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XHTML이 실제로는 HTML과 거의 동일하게 취급되므로 구태여 XHTML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지요.하지만 XHTML을 이용한 홈페이지와 블로그를 만들고 운영하는 제 생각은 그와는 다릅니다. XHTML이 HTML 대신 사용되는 것을 굳이 말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거든요.물론 이 문제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각자가 생각하고 판단해야 할 문제니까요. 그 판단을 돕기 위해서 각각의 주장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려는..
차이를 찾다가... 좋은 글이라 퍼옵니다. XHTML과 HTML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웹 문서 규격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XHTML은 기존에 사용되던 HTML 규격이 가진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여러가지 확장된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HTML을 XML 바탕으로 새롭게 구성(reformulation)한 XHTML은 CSS와 함께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웹 표준’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XHTML이 XML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이 XML을 모든 브라우저가 지원하지 않는다는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XHTML과 HTML이 사실상 큰 차이 없이 사용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이런 시각을 다루는 좋은 글이 있어서 번역해서 소개합..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바스크립트
- POI
- mailserver
- Hibernate
- Persistent
- poi셀크기
- 비기능
- JPA
- non-functional
- 릴레이
- non
- #iamreo
- apache POI
- minikube
- 정규식
- Gc
- 딥러닝
- 아키텍처요소
- JVM
- 메일서버
- orm
- 아키텍처비기능
- #gof #디자인패턴
- memory
- nvida gpu 할당
- vibecoding
- 메모리
- ai coding
- 대화로 코딩
- 바이브코딩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